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에서 치료 후 성장속도와 중수골지수와의 관계

성조숙증으로 진단된 여아에서 치료 후 성장속도와 중수골지수와의 관계

Relation to growth velocity with GnRH agonist therapy and metacarpal index

(지상발표):
Release Date :
Jung Hee Shin, Won Kyung Hur, Il Tae Hwang, Seung Y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Seoul, Korea
신정희, 허원경, 황일태, 양승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서론: 중수골지수 (metacarpal index)는 거미 손가락증 (archnodactyly)을 보이는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지표로 간단한 측정을 통해 구할 수 있으며, Marfan 증후군과 같이 중수골지수의 증가는 고신장과 관련이 있다. 성조숙증을 치료하게 되면 성장속도의 감소를 보이게 되며 정상적인 성장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인 성장 호르몬 투여 필요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수골지수로 성선자극분비호르몬 유도제 투여 후 3개월 및 1년 동안의 성장속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특발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여아 중 진단 당시 연령이 9세 미만, 골연령이 12세 이하, 최소 1년간 성선자극분비호르몬 유도제 (GnRH agonist)를 4주 간격으로 치료받았던 26명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성장호르몬을 병용 투여한 환아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료수집은 외래차트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진단 당시 촬영한 좌측 수부 X선 사진에서 중수골지수를 구하였다. 성장속도는 3회 치료 후, 13회 치료 후의 신장을 각각 연성장속도로 재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8.1±0.9세, 평균 골연령은 10.5±0.6세였다. 진단 당시 중수골지수는 7.1±0.4였다. 3회 치료 후 평균 성장속도는 9.6±5.2 cm/년, 13회 치료 후 평균 성장속도는 7.1±1.6 cm/년이었다. 3회 치료 후 및 13회 치료 후 연성장속도와 중수골지수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회 치료 후 성장속도와 13회 치료 후 성장속도는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P=0.046, R=0.394)(그림). 결론: 본 연구에서 성선자극분비호르몬 유도제 치료 후 성장속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중수골지수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회 치료 후의 성장속도와 13회 치료 후 (치료 1년 후)의 성장속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3회 치료 후 성장속도로 1년 후 성장속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임상에서 성장호르몬 병용 투여를 결정하는 데 있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더 많은 환아를 대상으로 관찰한다면 적절한 분리값 (cut-off value)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metacarpal index, precocious puberty, GnRH agonist